한복문화주간은 우리 민족이 오래도록 지켜온 전통의상인 한복이 단순히
특별한 날 입는 옷을 넘어 일상 속 문화이자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확대하고자 마련된 전국 단위 행사입니다.
매년 10월 21일 ‘한복의 날’을 중심으로 그 주간을 지정해 한복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체험·교육·포럼·패션쇼 등이 전국 여러 지역에서 동시에 펼쳐집니다.
한복의 아름다움, 문화적 가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색다른 방식으로 조명하며
일반 국민부터 전문가·관련 업계까지 폭넓게 참여할 수 있는 장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https://www.kcdf.or.kr/hanbokcultureweek/main
한복문화주간
www.kcdf.or.kr
한복문화주간
한복문화주간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행사로,
우리 전통의상인 한복을 현대생활 속에서 보다 가까이 누릴 수 있도록 문화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국적 규모의 한복 문화행사를 통해 한복의 인지도 및 위상을 강화하는 것
지역 각각의 고유 콘텐츠와 한복을 연계하여 지역이 자립적으로 한복문화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것
행사 기간 동안 ‘한복을 입는 문화’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전시·체험 등을 통해 한복이 단순히 과거의 의상이 아니라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향유되는 문화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024년에는 “한복의 멋, 한류의 벗”이라는 표어로 10월 14일부터 10월 20일까지 전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중심거점·지역거점 등 전국 여러 곳에서 전시·패션쇼·체험·포럼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 2025년은 10월 2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6일간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처럼 한복문화주간은 전통문화의 맥을 잇는 동시에 한복이 갖는
심미적·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해석하고,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속에서
즐길 수 있는 문화 콘텐츠로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가까운 행사장에서 한복을 입고 걸어보세요. 전통의 고운 색감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새로운 문화경험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올해 한복문화주간에 함께 참여해 한복의 아름다움을 세상에 알리고,
우리의 전통을 일상 속으로 이어가보시기 바랍니다.
장소
주요 거점은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서 많은 인원이 모일 수 있는 핵심 장소들로서,
기념행사·패션쇼·포럼 등 중심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공간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장소입니다.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서울 종로구 종로1길 45)
2025년 행사 중 기념행사 및 패션쇼가 이곳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한복 유공자 표창식, 한복 패션쇼, 축하공연 등이 마련되어 있는 장소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강당(서울 종로구 삼청로 37)
2025년 행사 중 포럼 및 학술심포지엄이 이곳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한복문화의 삶 속 적용 및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논의 등이 이뤄지는 장소입니다.
남산골 한옥마을(서울 중구 퇴계로34길 28)
2025년 행사 중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이 이곳에서 열리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전통적인 한옥 공간에서 착의 체험을 할 수 있어 한복문화주간의 의미를 더욱 깊게 느낄 수 있는 장소입니다.
이처럼 주요 거점은 행사 중심이 되는 장소로서 서울 내 여러 문화시설을 포함하며,
프로그램별로 장소가 지정되어 있어 방문하기 전 해당 프로그램의 장소와 시간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공식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https://www.kcdf.or.kr/hanbokcultureweek/brd/board/1210/L/menu/1213
한복문화주간
한복문화주간부터 할로윈까지! 한복패스
www.kcdf.or.kr
지역 거점은 각각의 도시나 지역에서 고유의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한복문화주간 행사를 진행하는 공간으로, 보다 지역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지역들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강릉 한복문화창작소 및 강릉 일대
지역 거점명: 강원 “더 쉽게, 더 가깝게”
기간: 2025.10.21.(화) ~ 10.26.(일)
장소: 강릉 한복문화창작소 + 강릉 일대
내용: 한복 입고 플로깅, 어린이 공모전, 서당체험, 원데이 클래스 등을 포함.
청송·영양 전통시장 및 한국한복진흥원 일원(경북)
지역 거점명: 경북 “2025 한복문화주간 in 경북”
기간: 2025.10.18.(토) ~ 10.26.(일)
장소: 청송·영양 전통시장 및 한국한복진흥원 일원
내용: 한복 공연·체험·마켓·전시·교육 등 다양한 행사.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 및 부산 한복문화창작소(부산)
지역 거점명: 부산 “부산종합민속예술제: 망미장 × 한복문화주간”
기간: 2025.10.25.(토) ~ 10.26.(일)
장소: 부산 시민공원 다솜광장 + 부산 한복문화창작소
내용: 한복 마켓, 전통문화 체험, 한복 입기 체험 등.
한복갤러리 한국천연염색 숨 및 생태습지(전남)
지역 거점명: 전남 “우리모두 가치 GREEN 한복”
기간: 2025.10.21.(화) ~ 10.26.(일)
장소: 전남 한복문화창작소 + 한복갤러리(한국천연염색 숨) + 생태습지
내용: 한복 전시, 패션쇼, 플리마켓, 체험(조각보·자수·천연염색) 등.
전라감영 일대 및 전주문화재단(전주)
지역 거점명: 전주 “전주 한복판”
기간: 2025.10.21.(화) ~ 10.26.(일)
장소: 전주문화재단 + 전라감영 일대
내용: 개막식, 한복 대여 및 문화 교육, 한문화 콜라보 체험프로그램 등.
이처럼 지역 거점은 각 지자체의 문화 인프라 및 지역자원과 연계되어 있어,
방문 시 지역만의 분위기와 특화된 프로그램을 경험하기에 적합합니다.
프로그램
한복문화주간의 프로그램은 전시·체험·교육·포럼·패션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념행사 및 패션쇼
‘한복의 날’인 10월 21일에는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한복 유공자 시상식과 한복 패션쇼가 열립니다.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패션쇼 무대에서 한복의 아름다움과 새로운 변화를 함께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전시 및 기획전
한복의 역사와 기술을 소개하는 특별전이 전국 박물관과 문화시설에서 열립니다.
창경궁에서는 올바른 한복 착용법 체험, 인증샷 이벤트 등도 진행됩니다.
2025년에는 전통기술과 장인정신을 주제로 한 학술전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체험 및 참여형 프로그램
한복 입어보기, 소품 만들기, 전통 염색, 한복 입고 산책하기 등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각 지역에서는 지역 특색에 맞춘 체험형 콘텐츠가 운영되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인기가 많습니다.
교육·포럼
한복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 세미나, 포럼 등이 열립니다.
2025년에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30 한복생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온라인 및 일반참여처 연계 프로그램
온라인 영상, SNS 캠페인, 한복 관련 소상공인 협력 프로그램 등도 운영됩니다.
한복 대여점, 사진관, 카페 등도 한복문화주간 참여처로 등록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처럼 한복문화주간의 프로그램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한복의 멋과 의미를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 공식홈페이지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한복문화주간
2025 한복문화주간 전체 프로그램 소개 작성자조윤서 조회수44 작성일2025-10-20
www.kcdf.or.kr
참여방법
사전 준비
공식 누리집(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복문화주간 페이지)에서 일정과 장소를 확인합니다.
참여 희망 프로그램의 사전 신청 여부를 확인하고, 마감 전에 등록합니다.
한복을 직접 착용하려면 편안한 착의법과 소품 준비를 권장합니다.
오프라인 참여
전국 거점행사장에서 열리는 전시·체험·패션쇼에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복 착용 시 일부 문화시설이나 참여처에서 할인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참여
공식 SNS 및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영상, 이벤트,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지역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도 온라인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일반참여처로서 참여
개인, 기관, 단체(한복 대여점, 카페 등)도 일반참여처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참여처로 등록하면 행사 홍보자료 제공, 공식 홈페이지 등재, 홍보키트 지원 등의 혜택이 있습니다.







유의사항
일정이나 프로그램은 주최 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공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프로그램은 무료이지만, 특정 체험은 유료일 수 있으니 사전 안내를 확인하세요.
행사장에서 한복 착용 시 이동 및 보관에 유의하고, 촬영 시에는 공식 해시태그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